본문 바로가기

국보

한국관광의 메카 “Beautiful Gyeongju”가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聖德大王神鍾
기본정보
  • 종목 국보 제29호
  • 분류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 의식법구
  • 수량/면적1구
  • 지정(등록)일 1962년 12월 20일
  • 소재지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 시대통일신라 혜공왕 7년(771)
  • 소유자국유
  • 관리자국립경주박물관
  • 상세정보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큰 종으로 상원사 동종(국보),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보물)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완형의 통일신라시대 범종 3구 중 하나이다. 높이 3.66m, 입지름 2.27m, 두께 11∼25㎝이며, 무게는 1997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정밀측정한 결과 18.9톤으로 확인되었다.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 뒤를 이어 혜공왕이 771년에 완성하여 성덕대왕신종이라고 불렀다. 이 종은 처음에 봉덕사에 달았다고 해서 봉덕사종이라고도 하며, 아기를 시주하여 넣었다는 설화로 인해 에밀레종이라고도 불리운다.
    종의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동종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이다.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용머리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다. 종 몸체에는 상하에 넓은 띠를 둘러 그 안에 꽃무늬를 새겨 넣었고, 종의 어깨 밑으로는 4곳에 연꽃 모양으로 돌출된 9개의 연꽃봉우리를 사각형의 연곽(蓮廓)이 둘러싸고 있다. 유곽 아래로 2쌍의 비천상이 있고, 그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가 연꽃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몸체 앞,뒷면 두곳에는 종에 대한 내력이 새겨져 있다. 특히 종 입구 부분이 꽃모양으로 굴곡진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어 이 종의 특징이 되고있다.
    통일신라 예술이 각 분야에 걸쳐 전성기를 이룰 때 만들어진 종으로 화려한 문양과 조각수법은 시대를 대표할 만하다. 또한, 몸통에 남아있는 1,000여자의 명문은 문장뿐 아니라 당시의 종교와 사상을 살펴 볼 수 있는 귀중한 금석문 자료로 평가된다.
  • 길찾기 및 주변정보
    길찾기
    지도 건너뛰기
  • 사진/영상
    성덕대왕신종 천인상 용뉴(龍紐)와 음통(音筒) 종신구선대(鐘身口線帶) 국보_성덕대왕신종1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성덕대왕신종2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성덕대왕신종3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성덕대왕신종4_문화재대관(국보) 국보_성덕대왕신종5_문화재대관(국보)
  • 리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