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물

한국관광의 메카 “Beautiful Gyeongju”가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慶州 祇林寺 塑造毘盧舍那佛 腹藏典籍
기본정보
  • 종목 보물 제959호
  •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사본류
  • 수량/면적54권 71책
  • 지정(등록)일 1988년 11월 04일
  •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기림로 437-17 (양북면, 기림사)
  • 시대
  • 소유자기림사
  • 관리자기림사
  • 상세정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의 전적 유물은 사경(寫經)과 목판본(木版本) 등 일괄 54건 71책이다. 사경은 고려 충목왕(忠穆王) 4년(1348)으로 추정되는 『상지은니대반야경(橡紙銀泥大般若經)』 권 210 등 10첩(帖)이 확인되었고, 목판본은 고려 숙종연간(肅宗年間, 1096∼1105)에 조성된 목판에서 13세기 초반 인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방광불화엄경』 권26(大方廣佛華嚴經 卷二十六)을 비롯하여 고려말 인출본과 조선 초기 인출본 그리고 연산군 6년(1500) 합천(陜川) 봉서사(鳳栖寺)에서 판각 인출한 『선종유심결(禪宗唯心訣)』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장정 형태도 조선시대에 상당수 확인되는 선장본(線裝) 외에 고려 사경(高麗寫經)에서 많이 확인되는 첩장본(帖裝本)과 흔하지 않은 장정 방식인 호접장본(胡蝶裝本)과 포배장본(包背裝本) 등이 골고루 확인된다. 호접장본으로는 고려 충선왕 1년(1309)에 새겼던 목판에서 공민왕 19년(1370)에 다시 인출(印出)한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권 4∼7, 8∼9 그리고 중국 송(宋)에서 만들어진 목판(木板)에서 고려말 인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방광물화엄경소(대방광불화엄경소)』 권97 등이 있다. 한편 포배장본으로는 고려말 인출된 것으로 보이는 『대방광원각약소주경(大方廣圓覺略䟽注經 )』 권상2, 『법화삼매참조선강의(法華三昧懺助宣講儀)』 권하 등이 있다.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의 전적 유물은 고려시대 조성되었던 은자대장경(銀字大藏經)의 실례를 보여주며, 고려시기 판각(板刻)되었던 목판의 인출과 다양한 장정(裝訂)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 사경과 여러 목판본에서 확인되는 조성 목적과 조성 시기와 장소 그리고 관여했던 인물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는 조성 당시의 역사상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준다.
  • 사진/영상
    표지및권수 권말 표지및권수 표지및권수 권수 권수 표지및권수 표지및권수 표지및권수 권수 권수 권사지칠의표지및권수 권팔지십의표지및권수 권7말묵서기 권10말묵서기 표지및권수 13,14,15의표지 변상도 권수 권수 권수 권수 권수 권수 권수 권수 권수 권7말및지문 권수 변상도 권수 권말및묵서명 권수 권말 권수 권말 권수 권말및묵서식기 권수 권수 권수 권말및묵서 권수 권수 본문부분 변상도 권말 권수 권말 선문념송집표지 권5말및권6의권수 권수부분묵서명 권상말및권중의권수 권말사성기 권수 권수 권2,3,4의표지 권2의권수 묘법연화경권5의권수 표지 묵서식기및은중경권수 은중경발문및다라니경권수 권4의권수 권말발문 권4말시주질 변상도및권수 권2의권수 권6말및권7의권수 권말묵서발문 권6말및권7의권수 권말간기 환산법어부분 목우자수심결권수 고담법어부분 변상도및다라니경부분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_은중경 부분 권3의표지및권수 권6말및후서부분 관세음보살예문및불설아미타경의권수 권수 선종유심결의권수 영가집십장찬송변서 오대진언 선종유심결의권말및함허행장 오대진언 선종유심결의권말및함허행장
  • 리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