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수돗물 관리에 정보통신기술(ICT) 기술 접목…

작성자
홍보담당관
등록일
2023-11-16
< 51억원 예산 들여 시 전역 지능형 관망관리 기반시설 구축사업 11월 완료 >

공사현황도

- 실시간 수질‧수압 관리 가능

경주시가 K-water 경북지역협력단과 함께 정수장에서 수도꼭지까지 수질‧수량 관리를 실시간 감시하고 자동 제어하는 통합운영 시스템을 도입했다.

16일 시에 따르면 51억 원의 예산을 들여 2021년 3월부터 올해 11월까지 시 전역을 대상으로 지능형 관망관리 기반시설 구축사업을 완료했다.

지능형 관망관리는 수돗물의 공급 모든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입해 주기적인 유지관리로 적수(붉은 수돗물=녹물) 등 상수도 사고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는 시스템이다.

그간 상수도관을 한번 매설하면 다년간 관로 내부 세척 없이 사용함에 따라 수질 악화는 물론 수도관 내구성이 취약해져 누수 사고 등의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 시스템은 수질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최첨단 통신 기반시설을 활용한 지능형 물관리가 핵심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실시간 수질 감시 및 관리를 위한 정밀여과장치 6곳, 수질오염 신속 대응을 위한 자동드레인 3곳, 적수사고에 대비한 관 세척 장비 28곳을 설치했다.

또 수질측정장비를 비롯해 각종 수질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소규모 수량계 14곳, 지능형 미터링계, 지능형 수압계 등도 함께 설치했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실시간 수질·수압 감시, 관로 내부에 축적된 이물질 감지 및 오염물질 자동 배출이 가능해진다.

더불어 관 세척으로 수도관 내부의 침전물, 녹 등을 제거해 수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주낙영 시장은 “수도 녹물은 이젠 옛말이 됐다며, 이번 사업으로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과 안전한 수질 관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수질민원 발생지역 등을 중심으로 확대 설치 하겠다”고 말했다.
파일
다음글
2025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 서명운동 100만명 돌파
이전글
경주시, 황성공원 도시바람길숲 사업 순항 중···사유지 보상 완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경주시청이 창작한 시정포커스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