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적 가치가 충분한 ‘칠성도’
경주 길상사 ‘칠성도’
총 63위의 존상이 그려져 있는 불화 칠성도. 이 작품에는 치성광여래와 자미대제를 중심으로 칠성여래, 일광·월광보살, 일원천자 등의 존상이 크게 상하 2단 구도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2단 구조란 상단은 중앙집중식으로 하단은 횡대의 병렬식으로 존상을 배치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 작품은 언제 그려진 걸까. 그 시기는 작품의 하단에 있는 화기를 통해 알 수 있다. 칠성도의 경우 조선시대 후기인 1866년 화승 ‘영담’이 제작한 것이다. 영담은 19세기 중엽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10여 점의 작품을 남긴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길상사의 칠성도는 조선후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영담의 화품을 면밀하게 살펴볼 수 있기에 중요한 작품으로 꼽혔다.
우리의 불화 역사가 담긴 이 작품은 국내에 보존되어 있어야 했지만 사실 그러지 못했다. 2013년 개인소장가가 이탈리아 해외 경매에서 낙찰받은 뒤 환수된 문화재다. 환수 이후 불교문화유산이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한 것을 안타깝게 여긴 길상사 주지 혜광스님이 2019년 소유권을 확보해 현재 길상사가 소장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