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이곳에 신당이 있었다 하며 조선시대에 이르러 마을에서 국화재배가 잘 된다고 하여 국당리라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다산, 다질 또는 단구리의 아래쪽이 된다하여 하단구라고도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의하여 천서리 일부를 병합하여 강동면 다산리로 하였다.
붉은더기 밑이 되므로 붉은디기, 단구, 달성이라 부르며 또는 다산리의 하단구 위쪽이 된다하여 상단구라고도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의하여 천서리 일부를 병합하여 강동면 단구리로 하였다.
모암산 서쪽 아래가 되므로 모서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의하여 사곡리, 심동, 구경리, 초감리 일부를 병합하고 마을 앞에 안락천이 흐르므로 그 뜻을 따서 안계리로 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어진 선비들이 많이 배출된 마을이라 하여 양좌동 또는 양동이라 불렀다.
마을 뒷산이 다섯 골짜기로 이루어져 마치 거문고처럼 생겼다고 하여 오금이라 불렀다.
옛날 이곳에 왕기(王氣)가 있었다 하여 왕신이라 불렀다 전한다. 또는 조선 선조때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군사를 이끌고 이곳에 주둔하여 왜군을 물리쳤으므로 믿을 만한 곳이라 하여 왕신(王信)이라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옛날 이 마을 앞으로 흐르는 형산강가에서 한 소녀가 슬프게 울고 있음을 보고 지나던 과객이 이름을 물으니 유금이라 하였다고 하여 불려진 이름이라 하는 이도 있다.
약 500년 전 경주손씨가 마을을 개척하였다 하며 경주부윤이 이 마을 못에 와서 뱃놀이를 하였으므로 어진 원님이 놀았다는 뜻으로 인좌골, 인좌곡, 또는 인동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깊은 산골이라 범이 울고 다녔다 하여 범어리, 범우리, 호명이라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