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박하고 자연스러운 형태에 신성한 기품을 담은 C.I. 다소 투박해 보이는 사각형은 신라천년 당시 고도 경주의 발전된 정방형 도시형태와 완벽한 가람의 배치를 응용한 것으로 자연스러운 조형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신비스러운 청람색은 경주의 희망찬 미래와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여섯개의 점은 첨성대에서 바라본 별을 모티브로 하여 신라 건국의 기초가 되었던 6부촌을 형상화한 것이며, 왕관은 문화적 권위와 역사성을 확보하고 있는 경주의 위상을 느끼게 한다. ㄴ자 형태는 첨성대의 문을 상징하는 것으로 세계를 향해 열려 있는 경주의 이미지와 미래로 뻗어 나가는 기운을 담고 있다. 아울러 ㄴ자 형태의 따뜻한 회갈색은 신라의 찬란한 문화와 천년의 유구한 역사를 상징한다.
전체적으로 경주의 아름다운 정신과 문화가 깊이 배어 있으며 낙관의 이미지를 응용하여 독특한 느낌을 주고 있다.
심벌마크 그리드/단색활용
심벌마크는 경주시의 대표적 시각 상징물이므로 형태와 색상 사용에 정확성을 기하여 이미지 변질이나 왜곡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사용시에는 반드시 컴퓨터나 전사 제판방식에 따라 축소 또는 확대하고 불가능할 때에는 별도로 제시된 그리드 비례규정에 따라야 한다. 심벌마크를 흑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아래의 단색활용의 규정을 반드시 따라야 한다.
로고타입은 심벌마크와 함께 경주시 C.I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항에 예시한 것은 로고타입 가로형으로 심벌마크와 기타 다른 디자인 요소와의 조화와 가독성을 고려하여 특별히 개발된 것으로 국문과 영문, 한문이 있으며, 로고타입은 경주시의 독자적인 공식표시이므로 그 사용에 있어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로고타입은 각각 글자꼴의 형태에 따라 비례조정한 글씨이므로 임의로 변경하여서는 안된다.
경주시의 로고타입은 백색의 배경색에서 가장 시각적 효과가 우수하므로 가급적 백색의 배경색에 Full Color를 사용하기로 한다. 색상은 자칫 잘못 사용하면 명도, 채도에 따라 가독성을 잃거나 이미지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항상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념해야 한다. 단, 변경사용이 필요한 경우는 경주시의 이미지를 왜곡시키거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악화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허용된 기준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시그니처는 경주시 C.I(City Identity)의 기본요소인 심벌마크와 로고타입을 효과적, 조직적으로 조합하여 시각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통합 형성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다. 시그니처는 홍보물류, 사인류, 서식류 등 다양한 매체에 사용되며, 그 기준에 맞도록 여러 종류로 개발되었다. 이를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각 기능이나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이 시그니처 시스템이다. 본 항은 시그니처 상하조합으로 시그니처 색상은 전용색상과 검정 로고타입 조합의 시그니처를 우선으로 사용한다.
시그니처 주소조합은 경주시의 기본요소인 심벌마크와 로고타입을 효과적, 조직적으로 조합하여 시각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통합, 형성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다. 시그니처 주소블록은 홍보물류, 사인류, 서식류 등 다양한 매체에 사용되며, 그 기능에 맞도록 여러 종류로 개발되었다.
지정서체는 전용서체 문장하에 있어서 가독성 및 다양한 활용의 문체를 보완하기 위해 지정된 것이다. 한글 지정서체의 종류는 윤고딕120체로 지정되어 있다. 윤고딕120체는 짧은 문장 또는 제목에 사용하여 강조할 내용이나 주된 초제를 부각 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나머지 서체들은 가독성이 좋으므로 긴 문장이나 서식류 등에 다양하게 사용한다. 사용시 문자폭은 80%, 자간은 -10을 원칙으로 한다.
영문 지정서체는 영문 로고타입과 같은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Helvetica체 를 사용하였다. 적용매체에 따라 예시된 서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Helvetica-Light, HelveticaCnd-Normal체는 가독성이 좋은 서체로 긴문장이나 주소 , 광고물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좋고 Helvetica-Heavy, HelveticaCnd-Bold, HelveticaExt-Bold체는 헤드라인이나 부제, 강조할 부분 등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다.